이런 방식으로 3개의 숫자로 버전을 표시하는 방식을 시맨틱 버전 분류법, 번역하면 유의적 버전 분류법이라고 합니다.
이 3개의 숫자 중에 첫 번째 숫자를 메이저(Major) 버전이라고 하고 이전 버전과 호환이 되지 않게 기능이 바뀌거나 추가되면 변경되는 숫자입니다.
두 번째 숫자는 마이너(Minor) 버전이라고 하고 이전 버전과 호환되면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면 변경되는 숫자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 숫자는 패치(Patch) 버전이라고 하고 이전 버전과 호환되면서 버그를 수정한 것이라면 변경되는 숫자입니다.
최신 버전의 유니티 엔진은 메이저 버전을 연도로 표시합니다.
이 부분은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유니티 측에서 매년 새로운 혁신을 이루어 내겠다는 포부로 볼 수 있지만, 약간의 문제는 업데이트 일정이 조금씩 밀리면서 연도 버전과 실제 연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현재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 버전 불일치 문제는 유니티 측에서도 인지하고 있고, 업데이트 일정을 조절해서 맞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숫자인 마이너 버전은 유니티 5까지는 일관성이 없었지만 2017~2019까지는 1~4 사이의 숫자를 사용했습니다.
이 마이너 버전 1은 아직 에디터가 안정화되지 않은 베타 버전으로 안정화 단계에 따라서 버전이 올라가고 가장 안정화된 상태에서 장기 지원을 하는 버전에 버전 넘버 4를 붙여줍니다.
그리고 2020 버전이 이후에는 연도와 버전 넘버의 불일치를 되돌리기 위해 1~3까지만 버전 넘버를 사용하여 버전 넘버 3을 장기 지원 버전으로 하도록 변경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패치 버전은 유니티 에디터에 자잘한 버그를 수정할 때마다 계속해서 올라가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런 버전 분류 방식으로 인해서 게임 개발 중인 유니티 프로젝트의 에디터 버전을 올릴 때는가급적이면 패치 버전과 마이너 버전까지만 올리도록 하고 메이저 버전을 바꿔야 한다면 프로젝트를 반드시 백업한 뒤에 버전을 올려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LTS
그 다음으로 살펴볼 부분은 LTS입니다.
유니티 허브에서 다른 버전의 에디터를 설치하기 위해서 에디터 설치 버튼을 눌러보면 2020.3, 2019.4, 2018.4 버전 뒤에 LTS 라는 약자가 붙어있습니다.
버전 뒤에 붙어있는 이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약자로 우리 말로는 장기 지원 버전이라고 합니다.
이런 장기 지원 버전은 연도 버전이 바뀐 이후에도 해당 연도의 LTS 버전이 최초로 릴리스된 날짜로부터 2년간 계속해서 매월 업데이트됩니다.
이런 식으로 장기 지원 버전을 만들어서 계속 업데이트를 해주는 이유는 이미 예전 버전의 에디터로 계속해서 진행해오던 프로젝트가 유니티 에디터의 바뀐 메이저 버전을 따라 무작정 버전을 올리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이전 버전으로 개발하는 개발자들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개발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유니티 엔진은 끊임없이 업데이트되는데, 버전 넘버링 중에 가장 앞자리인 연도 버전이 바뀔 때마다 유니티는 가장 많은 변화를 겪게 됩니다.
하지만 이 연도 버전이 처음 나온 시점인 1버전이나 2버전에서는 새로운 기능이 대거 들어와서 엔진이 조금 불안정한 상태가 됩니다.
그래서 새로운 연도 넘버링의 엔진은 곧바로 게임 개발에 사용하는 것보다는 새 버전의 엔진에 들어오는 기능을 테스트 해보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정식으로 게임을 개발할 때는 가장 최신의 LTS 버전인 에디터를 설치해서 개발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웃트로
이번 영상에서는 유니티의 버전 넘버링과 LTS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강좌는 여러분들의 시청과 후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상 베르의 게임 개발 유튜브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유니티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에셋을 구매하시거나 유니티를 구독하시면 수익의 일부가 베르에게 수수료로 지급되어 채널의 운영에 도움이 됩니다.